분류 전체보기 37

러시아 음식들 리뷰. 1탄

안녕하세요. 오늘은 제가 현지에서 먹었던 러시아 음식들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각각 음식마다 제가 처음 접했을 때의 느낌과 맛, 개인적 평가, 경험들을 적어봤습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러시아 음식들은 보르쉬, 블린, 슈바, 까샤, 바레니끼, 살랸까입니다. 이 음식들은 러시아뿐만 아닌 벨라루스, 우크라이나 등 타 슬라브 국가에서도 먹는 음식이기 때문에, 정확하게 말하자면 '슬라브식 음식'이라고 해야 될 것 같네요. + 보르쉬 Борщ 보르쉬는 러시아의 음식하면 떠오르는 음식으로 가장 잘 알려진 수프입니다. 러시아에는 ‘보르쉬를 못 끓이면 시집을 못 간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러시아인을 넘어 여러 슬라브 국가들에서 즐겨먹는 수프입니다. 보르쉬에 스메타나를 곁들여 먹고, 그 맛은 맵지 않은 김치찌개 같다는 말..

[이것저것] 2020.07.08

영어 달력의 유래

영어의 달력의 이름의 유래에 대해 궁금해져 알아보았습니다. 찾아 보면서, 달력에 관한 재미있는 사실 몇 가지 또한 알게 되어 적어봅니다. - 율리우스력과 그레고리력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달력은 그레고리력입니다. 율리우스력은 이 그레고리력의 조상과 같은 개념입니다. 1년의 길이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처럼 정확하게 365일로 정확하게 맞아 떨어지지 않고, 365.242190일로 복잡하게 떨어집니다. 현 달력의 시초 율리우스력은 1년의 길이를 365.25일로 계산하여 4년에 한번 윤년을 두어 맞추었습니다. (윤년이란 4년에 한번 2월의 일수를 29일로 늘리는 것을 말합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날수록 실제 일수와 0.0078일, 11분 14초의 차이가 생기기 때문에 128년이 지나면 하루가 차이가 나게 됩..

[이것저것] 2020.06.05

러시아어의 묵음들

러시아어의 묵음 예전에 공부했던 러시아어 발음 노트를 찾아 복습할 겸 여기에 글을 적어봅니다. 러시아어 발음을 잘하고 싶으시다면, 아래의 규칙들을 잘 지키는 것도 중요합니다. 예를 들면 Здравствуйте 는 [즈드라브스트부이쩨]가 아닌 [즈드라스트뿌이쪠]로 발음합니다. 3개 이상의 자음이 연속적으로 위치하게되면, 그 중 하나의 발음은 묵음(없는 소리)이 됩니다. вств에서 в는 묵음이 되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오늘은 이처럼 여러 묵음들을 보도록 하겠습니다. (발음 테마다보니 예시에 단어들의 뜻은 적지 않았습니다. 궁금하신 분들은 직접 찾아보시길..) - СТН [스느/СН]: СТН에서는 Т의 소리가 사라집니다. че́стно [체스나] тростни́к [트로스니크] вла́стный [블라스늬..

러시아 대학교 소개 _ 1

러시아 대학교 러시아나 CIS 국가에 유학을 고민하시는 분들에게 아마 이 글이 도움이 될 거 같아 적어봅니다. 아마 곧 유학을 가시는 분들, 유학을 갈 예정인 분들은 어떤 대학교를 갈 지, 어떤 학과를 갈지, 어떻게 해야할 지 등등 고민이 이만저만이 아닐겁니다. 저는 현재 CIS국가 유학 중에 있고 오래 전부터 유학을 꿈꿔왔습니다. 그래서 어떤 대학교에서 공부를 할 지, 어떤 대학교, 나라에서 공부할 지 결정을 못해서 매일 정보를 찾아보기도 했죠. 그리고 유학원을 통해서 갈까 하다가, 주변에서 굳이 유학원에 비싼 돈 들이지 않고 혼자서 입학이 가능하다는 이야기를 듣고, 혼자서 학교 입학 관련 사이트에 메일을 주고 받았던 기억이 있습니다. 서론은 이쯤하고 오늘은 모스크바 국립대학교, 노보시비르스크 국립대학..

최초의 우주 비행사 유리 가가린

+ 세계 최초의 우주 비행사 Юрий Гагарин 냉전 시절 우주 비행은 과학 발전의 이정표일 뿐만 아니라, 영향력 있는 선전 활동의 도구이기도 했습니다. 그래서 소련은 사회주의 선전 도구로써 우주 개발 사업에 좀 더 힘쓰게 됩니다. 그리고, 후에 세계 최초의 우주 비행사를 배출하게 됩니다. ‘우주는 까맣고, 지구는 푸른 빛깔이다’라는 말을 한 Юрий Гагарин 유리 가가린은 소련의 군인이자 우주비행사로 인류 역사상 처음으로 우주를 비행한 사람입니다. 현재도 많은 사람들이 그를 영웅으로 생각을 합니다. 유리 가가린은 1934년 3월 9일 소련 스몰렌스크의 집단 농장에서 태어나, 세계 대전 당시 독일군 치하의 소련에서 살았습니다. 20살이 되던 해 가가린은 비행 클럽에 가입하였고, 전투기 조종사로 ..

[이것저것] 2020.05.31

캅카스 3국의 어원: 조지아,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조지아,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은 캅카스 3국으로 불립니다. 캅카스 산맥에 대한 글은 벨라루스와 몰도바의 글에 같이 적었기 때문에 생략하겠습니다. https://dedushka.tistory.com/19 벨라루스와 몰도바의 어원 개요 벨라루스와 몰도바, 그리고 소련 시기 잠시 존재했던 자캅카스 사회주의 연방 소비에트 공화국의 명칭에 대해 공부해보았습니다. 그리고 각 국가의 어원과 캅카스 산맥의 어원 또한 공부�� dedushka.tistory.com + 조지아 საქართველო/Грузии 조지아는 북쪽으로는 러시아, 남쪽으로는 터키, 아르메니아, 남동쪽에는 아제르바이잔과 맞닿아 있고, 수도는 트빌리시입니다. 조지아는 스탈린이 태어난 나라지만, 러시아와는 사이가 안 좋은 나라 중 하나입니다. 그 이유..

[어원공부] 2020.05.27

러시아어 입문서 추천

러시아어 입문서 추천 오늘은 제가 러시아어 공부를 처음 시작할 때 봤던 책을 소개해 드릴려고 합니다. 오래 전, 언제였는가는 기억이 안 납니다. 처음 러시아어를 공부할 때는 어떤 책을 봐야할 지도 몰랐고, 어떻게 공부를 해야할 지도 몰랐습니다. 그냥 무작정 러시아어 입문서들을 샀습니다. 러시아어 회화책, 여러 입문서, 단어장 등등 여러 가지 책을 샀지만, 그다지 괜찮다 생각이 드는 책은 없었습니다. (뭐 그 때의 제가 게을렀던 문제도 있긴 하지만..) 책 초반 부분에만 더러워져 있고, 그 뒤엔 깨끗하게 책장에 하나 둘씩 보관되기 시작해서, 지금은 이미 꽤나 쌓여서 책장 자리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렇게 돈 낭비라고 할까요? 책 한 권에 만원에서 만 오천원이라 치면, 5권만 해도 5만원이 넘는 금액이라, ..

[이것저것] 2020.05.23

러시아어 발음 공부 (중급)

러시아어 음성학 + 러시아어 발음 규칙 - 러시아어 자음 러시아어에는 33개의 알파벳 буквы 이 있고, 이는 10개의 모음, 21개의 2개의 연음/경음 부호 (ь,ъ)로 나뉩니다. 이 알파벳들의 소리, 음성(Звуки)은 모음 6개 - [а/아], [о/오], [и/이], [э/에], [у/우], [ы/의] 자음 36개 - [к/끄], [к’/끼], [п/쁘], [п’/삐], [с/스], [с’/시], [т/뜨], [т’/찌], [ф/프], [ф’/피], [х/흐], [х’/히] [ц/쯔], [ч’/치], [ш/쉬], [щ’/쉬이], [б/브], [б’/비], [в/브], [в’/비], [г/그], [г’/기], [д/드], [д’/지], [ж/쥬], [з/즈], [з’/지], [й’/j], [л/르..

러시아어 자격증 토르플 소개

+ 토르플이란 러시아어 전공자 혹은 러시아어에 관심이 있는 분들이라면 러시아 정부 산하의 러시아어 능력 평가센터에서 시행되는 ‘토르플’이라는 자격증을 들어본 적이 있을 겁니다. 그 명칭은 다음과 같습니다. 영어: TORFL: Test of Russian as a Foreign Language, 러시아어: 테르끼 ТРКИ: Тест по русскому языку как иностранному 그러면 러시아어 시험, 토르플에 대해서 좀 더 자세히 알아봅시다. + 토르플의 단계 토르플의 단계는 기초, 기본, 1, 2, 3, 4 단계로 총 6단계로 나눠집니다. - 기초 단계(Элиментарный уровень) – 유럽 자격증 시스템의 A1과 같습니다. 시험자가 가장 기초적인 의사소통이 가능한지 증명해주는 ..

모스크바의 어원

모스크바는 왜 모스크바일까요? - 모스크바의 어원 + 모스크바 모스크바라는 도시는 누구나 알고 있을 것입니다. 러시아의 수도로 1200만명에 가까운 사람이 살고, 유럽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도시이자 세계에서 4번째로 큰 도시입니다. 모스크바는 러시아 최대 교통의 중심지이자, 학술, 문화. 행정의 중심지입니다. 또한 크렘린, 성 바실리 대성당, 붉은 광장, 볼쇼이 극장과 같이 문화적, 역사적 관광지가 많기 때문에 관광객이 많이 찾는 좋은 도시 중 하나입니다. + 모스크바의 역사 모스크바의 역사에 대해 아주 짧게 이야기하자면, 과거 1156년 키예프 대공국 유리 돌고루키 대공은 모스크바 크렘린을 지었습니다. 이후 1283년 다닐 알렉산드로비치는 볼가 강과 오카 강 사이의 모스크바를 수도로 모스크바 공국을 건..

[어원공부] 2020.05.20